
일반적인 경기침체 시즌에는 한국의 미국 향 수출이 감소합니다. 경기침체 여파로 선진국인 미국의 소비 여력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난 8월 미국의 무역 수지 적자는 14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한국의 미국 향 수출은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생산은 정상화되지 않은 반면, 재정정책을 통해 민간에 돈이 풀려 소비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착안하여 한국 대미 수출 증가율을 이끈 1등 공신들을 가려 실적 발표 시즌 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논지의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시기를 단정할순 없으나 언젠가는 백신이나 치료제 출시 이후 미국의 생산이 정상화된다는 점에서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기업들의 지속적인 어닝 서프라이즈를 담보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지난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를..
매크로 이슈
2020. 10. 7. 18:46